반응형
직장에서 10년동안 아파치만 사용하다 회사를 옮기며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이것저것 해보다가 nginx를 사용해볼 기회가 생겨 노트해 둔다.
2004년 러시아 개발자 이고르 시쇼브(lgor sysoev)가 개발하였으며, 2019년 X5에 무려 7,500억에 인수됨(나무위키).
아파치가 프로세스 기반의 http 서버라면, nginx는 비동기 이벤트 기반 서버이다.
규모가 작으며 정적 데이터를 많이 처리하는 서비스에 적합하며, 동적자 700명 이상이라면 서버를 증설하거나 nginx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아직 아파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nginx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점차 증가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본연의 http 서버의 역할 보다 reverse proxy 로 로드밸런싱해주는 역할을 하고있지 않을까 싶다.
환경설정
ubuntu 환경 기준으로 아래의 위치에 있다.
/etc/nginx/nginx.conf
해당 환경설정에 대한 간략한 설명 (https://docs.nginx.com/)
아래의 3가지의 디렉토리 그룹과 파일들로 구성됨.
(xxx-available : 비활성화된 설정파일, xxx-enabled : 활성화된 설정파일(available의 file을 symbolic link 주로 걸어둔다.)
- Configurations : 설정
- conf-available
- conf.d : Feature-Specific Configuration files, 해당 디렉토리에 기능별로 구성파일을 생성하고, nginx.conf에서 include하여 사용하기를 권장
- conf-enabled
- Modules : nginx modules, /usr/share/nginx/modules/*;(https://nginx.org/en/docs/의 module reference 참조)
- modules-available
- modules-enabled
- Sites : site에 대한 속성 파일
- sites-available
- sites-enabled
- snippets : 위의 설정 외의 잡다한 설정들을 넣어 둔다.. ssl , fastcgi 등
- templates : site별 설정 내용을 분리
- mime.types : 처리할 mime type 정리
- fastcgi.conf : fastcgi에 관련된 설정 파일
반응형
'IT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ource license 정리 (0) | 2020.09.18 |
---|---|
[Errno 14] curl#35 - "Peer reports incompatible or unsupported protocol version." (0) | 2020.01.14 |
google driver (0) | 2020.01.13 |
소나큐브 (sonarqube) 다운로드, 설치, 실행 (0) | 2019.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