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저작권 위원회의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 참고
www.olis.or.kr/license/compareGuide.do
Open Source Initiative 참고
https://opensource.org/licenses
이 가운데 자주 사용되는 라이선스에 대해서 정리한다.
오픈소스 SW 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의 라이선스 소개 참조
오픈소스에 대한 개념은 처음 자유 소프트웨어 (FSF, Free Software Foundation)으로 부터 시작되었으며, 소프트웨어 산업이 복잡해지면서 자유 소프트웨어에 특정한 제약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오픈 소스 라는 개념이 생기게 된다. (OSI, 오픈소스협회 구성)
현재 오픈소스라고 하면, 완전히 무료라는 FSF 보다는 OSI 가 생긴 후 라이선시(Licensee)가 제시한 제약 조건 안에서 자유롭게 유통된다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소프트웨어 지식 재산권
- 저작권
- 특허권
- 상표권
- 영업비밀
오픈소스를 사용할 때 공통 준수사항
- 저작권 관련 문구 유지
- 제품명 중복 방지
- 서로 다른 라이선스의 조합
유명한 (많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들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없음
- 수정내용 고지 : 없음
BSD 3-Clause "New" or "Revised" license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없음
- 수정내용 고지 : 없음
BSD 2-Clause "Simplified" or "FreeBSD" license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없음
- 수정내용 고지 : 없음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있음
- 수정내용 고지 : 2.0 없음, 3.0 있음
GNU Library or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LGPL)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있음
- 수정내용 고지 : 있음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없음
- 수정내용 고지 : 없음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파일단위
- 수정내용 고지 : 있음
Comm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License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파일단위
- 수정내용 고지 : 있음
Eclipse Public License version 2.0
- 복제,배포,수정의 권한 : 허용
- 소스코드 공개의무 : 모듈단위
- 수정내용 고지 : 있음
'IT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사용하기 1 (0) | 2020.09.26 |
---|---|
[Errno 14] curl#35 - "Peer reports incompatible or unsupported protocol version." (0) | 2020.01.14 |
google driver (0) | 2020.01.13 |
소나큐브 (sonarqube) 다운로드, 설치, 실행 (0) | 2019.12.24 |
댓글